PM은 SQL 필수인가요?

기획자도 데이터 리터러시가 중요하다던데 어떤 역량을 키워야 할까요? 꼭 SQL을 배워야 하는 건지 고민이에요. 데이터를 실무에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데이터로 일하기’는 참 막연한 개념이죠. 해보지 않았다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고요. 이번에도 채용공고에서 실마리를 얻어봐요!

기획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역량은 무엇인가요?

데이터를 활용하는 기획자 업무는 정말 다양합니다. 예시를 들어볼게요.

이중 어떤 역량이 더 중요한지 알아보기 위해 2022년 1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올라온 서비스 기획자∙PM∙PO 채용공고 9,483개를 뜯어봤습니다. 채용공고에서 자주 언급된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은 총 12가지, 등장 빈도 기준으로 순위를 매겨봤어요.

1.png

가장 중요한 역량은 데이터 분석으로 전체 채용공고 22.13%에서 언급됐습니다. VOC 분석은 채용공고에서 가장 적게 등장한, 비교적 덜 선호되는 역량입니다.

기획자는 데이터를 어디까지 알아야 하나요?

요즘 데이터 분석은 직무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인데요. 기획자에겐 전문적인 데이터 분석 기술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데이터에서 발견한 인사이트를 서비스에 적용하는 능력입니다. 여기서 데이터는 꼭 숫자가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이 모든 게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구상할 때 기획자가 보는 데이터입니다. 핵심은 데이터에서 힌트를 찾아내 기획의 근거로 제시하는 것입니다. 기획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향대로 서비스를 이끌고, 사람들을 설득하기 위해 데이터를 무기로 활용하는 거죠. 회사가 기획자에게 원하는 데이터 분석 경험은 채용공고에도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2.png

PM은 SQL 할 줄 알아야 하나요?

데이터 추출은 기획자 채용공고에서 두번째로 많이 요구된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해 개발자 도움 없이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추출하고 가공하는 능력인데요. 서비스 기획자보단 PM∙PO 채용공고에서 더 많이 등장한 역량입니다.

3.png

데이터 추출 등장 비율이 서비스 기획자는 7.3%인 반면 PM∙PO는 11.7%로 더 높았어요. 그렇다면 데이터 역량은 서비스 기획자보단 PM∙PO에게 더 필요한 걸까요? 이 주제는 다음 글에서 더 자세히 이야기해 볼게요.

기획자가 다뤄야 할 데이터 분석 도구는 무엇인가요?

데이터 분석부터 추출, 시각화까지 도와주는 다양한 도구가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채용공고 언급량을 바탕으로 IT 회사가 선호하는 데이터 분석 도구를 알아봤습니다.

4.png

엑셀과 SQL의 채용공고 언급 비율은 모두 7%대로, 최근 약 2년간 기획자가 회사에서 가장 많이 쓰고 있는 데이터 분석 도구입니다. 엑셀은 데이터 분석뿐만 아니라 문서 작성에도 쓰이기 때문에 수치가 조금 높을 수 있는데요. 엑셀을 언급한 채용공고 대다수가 문서 작성보단 데이터 분석을 함께 요구했습니다.

데이터는 기획자가 문제를 발굴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세우는 데 유용하게 쓰입니다. 회사마다 방법과 도구는 다르지만, 기획자에게 필요한 전반적인 데이터 리터러시를 이해하는 데 이 글이 도움됐길 바랄게요. 다음 글에선 비슷한 듯 다른 서비스 기획자와 PM∙PO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더 많은 채용공고 분석 결과가 궁금하다면? IT 스킬 체크업에서 내 역량 진단해보세요!

IT 스킬 트렌드